이슈앤비즈

쿠팡 2년 연속 흑자행진 급제동 걸리나...'C커머스' 공세에 비상

issuenbiz 2024. 5. 8. 11:26

1분기 영업이익 531억원...전년 동기대비 61% 감소

알리익스프레스-테무 이용자수 1362만명...급속 추격

투자·지출 확대 영향...수익 확보→투자로 태세 전환

'쩐의 전쟁'으로 적자 전망도...재무·성장에 부담 우려

 

 

사진=쿠팡

 

 

로켓배송을 무기로 국내 유통업계 최강자로 올라선 쿠팡이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공세에 2년 연속 흑자 행진에 비상등이 켜졌다.

쿠팡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4000만달러(약 531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1% 감소했다고 8일 밝혔다. 2022년 3분기 사상 첫 분기 흑자 달성 이후 이어진 영업이익 확대 행진이 멈춘 것이다.

이 여파로 당기순손익도 2400만달러(약 319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지난해 1분기(9085만달러·약 1160억원)와 비교하면 무려 800억원 넘게 감소했다.

쿠팡은 상품·물류 투자 비용이 반영되면서 1분기 실적이 크게 악화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쿠팡은 지난해 6000억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거두며 2010년 창사 이래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쿠팡은 지난해 6174억원(4억7300만달러·연평균 환율 1305.41원)의 영업이익을 냈다.

지난 3월 쿠팡은 3년간 신규 풀필먼트(통합물류)센터 확보와 첨단 자동화 기술 도입, 배송 네트워크 고도화 등에 3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이를 통해 로켓배송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2010년 창립 이래 10년간 물류센터 구축 등에 6조원을 투입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지 않은 액수다.

쿠팡은 2022년 3분기 첫 분기 흑자 전환 이후 매 분기 1000억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둬 수익 구조가 사실상 안정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쿠팡 역시 '계획된 적자'를 마치고 본격적인 수익 창출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굵직한 투자가 마무리돼 지출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로켓배송을 기반으로 1000만명이 넘는 고정 활성 이용 고객을 확보한 만큼 이익 축적에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와 같은 이른바 C-커머스가 급성장하면서 이런 낙관적인 분위기는 차갑게 식었다. 두 업체가 중국산 초저가 제품을 내세워 고객을 빠른 속도로 유인하자 쿠팡 내부에서 '이대로 안주하면 안 된다'는 경고음과 위기의식이 커졌고 결국 경영 좌표를 수익 확보에서 투자 확대로 전환했다.

실제 애플리케이션(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 기준으로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이용자 수는 1362만명으로 쿠팡(3045만명)의 45% 수준까지 따라붙었다.

업계에서는 C-커머스(중국 이커머스 기업)에 대응하기 위한 이런 '쩐의 전쟁'이 쿠팡의 중장기 성장 전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업계에 따르면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모회사인 알리바바그룹과 핀둬둬(PDD)홀딩스는 10억명 이상의 중국 시장 고객을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수익을 만들어내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는 지난해 매출 170조원과 영업이익 23조3000원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 지난해 거둔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31조원과 6174억원 수준이다. 단순 비교해도 알리익스프레스 매출과 영업이익은 쿠팡의 5.5배, 37.7배에 각각 이른다. 2013∼2023년 10년간 누적 순이익만 152조원이다. 여기에 시가총액은 530조원으로 쿠팡(56조원)의 10배에 육박한다.

핀둬둬홀딩스도 지난해 매출 46조원과 영업이익 11조원을 기록했고 시가총액은 269조원으로 쿠팡과 비교하기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대규모 투자와 물량 경쟁이 장기화하면 아직 기초 체력이 약한 쿠팡에 불리할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많다. 일각에서는 쿠팡이 지난달 고객 비판을 감수하면서 와우멤버십 월 회비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대폭 인상한 것도 미래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편 다른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도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의 한국 시장점유율 확대를 저지하고자 물량 공세에 나서는 양상이어서 수익 기반 악화 우려가 크다.

출처 : 이슈앤비즈(http://www.issue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