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대규모 손실의 여파로 4대 금융지주의 올해 1분기(1~3월) 당기순이익이 전년대비 6000억원 이상 감소할 것으로 전만됐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의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 추정치는 총 4조362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동기 4조9697억원보다 6074억원(12.2%) 줄어든 수치다.
에프앤가이드는 대출 금리 하락에 따른 이자 이익 감소와 홍콩 H지수 ELS 대규모 손실에 대한 자율 배상에 따른 타격이 불가피 할것으로 분석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주요 증권사들은 4대 금융지주 1분기 영업이익이 6조4376억원으로, 전년동기 6조6520억원 보다 3.2%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회사별로 보면, 홍콩 H지수 ELS 손실 규모가 큰 KB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1조2268억원으로 1년 전 1조4992억원 보다 18.2%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신한금융의 1분기 순이익은 지난해 1조4143억원에서 올해 1조2933억원으로 8.6% 줄어 KB금융을 665억원 가량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같은 기간 하나금융은 1조1095억원에서 9893억원으로 10.8%, 우리금융은 9466억원에서 8천530억원으로 9.9% 각각 순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연간으로는 전년보다 양호한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대 금융지주의 올해 연간 순이익에 대한 시장 전망치는 총 16조5332억원으로, 전년대비 9.3% 증가한 수준이다.
KB금융은 4조999억원으로 7.6%, 신한금융은 4조7793억원으로 6.7%, 하나금융은 3조7434억원으로 7.9%, 우리금융은 3조1105억원으로 18.4% 각각 순이익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KB금융은 오는 25일, 신한·하나·우리금융은 26일 차례로 1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편 은행권이 홍콩 H지수 ELS 사태와 관련, 하나은행이 첫 자율배상금 지급에 나서는등 자율배상 지급 절차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 1일 하나은행이 은행권 최초로 홍콩H지수ELS 자율배상을 진행했다.
하나은행은 ‘홍콩H지수 ELS 자율배상위원회’에 상정된 개별자율배상안을 지난달 28일 심의ㆍ의결하고, 일부 투자자들과의 합의를 거쳐 29일 은행권 최초로 배상금을 지급했다.
하나은행은 법령, 소비자보호 등에 관한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외부전문가들이 참여한 홍콩 H지수 ELS 자율배상위원회를 통해 투자자별 개별요소와 사실확인 과정에서 객관성과 공정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하나은행은 자율배상 절차 진행을 가속화해 손실이 확정된 투자자들의 배상비율을 조속히 확정하고 개별 합의를 거쳐 신속히 배상금이 지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하나은행은 관계자는 “앞으로도 투자자들의 입장을 충실히 반영한 투명하고 신속한 배상절차 진행을 통해 투자자 보호 및 신뢰 회복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홍콩H지수 ELS 판매가 가장 적은 우리은행도 손실이 확정된 고객을 대상으로 조만간 배상에 나선다.
우리은행의 홍콩H지수 ELS 판매액은 413억원으로, 고객 수는 450여명이다. 우리은행이 판매한 ELS의 만기는 이달부터 도래한다. 첫 만기일은 오는 12일로, ELS 규모는 약 43억원가량이다.
우리은행은 ELS 만기일 이후 10영업일 이내에 배상 관련 안내 문자를 고객에게 개별 발송할 예정이다.
우리은행의 자율조정 대상 홍콩 ELS 총 배상액은 100억원 미만으로 추정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투자자와 협의를 마치면 일주일 이내로 배상금을 지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자율배상을 결정한 KB국민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등 야타 은행들도 내부 배상 실무조직과 검토를 담당할 외부전문가 조직을 구축해 이달부터 본격적인 배상에 나설 방침이다.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은 지난달 29일 오전 이사회를 열고 홍콩H지수 ELS 관련 투자자들의 손실에 대해 자율 배상하기로 방침을 확정했다.
KB국민은행은 이날 이사회를 열어 홍콩H지수 ELS 손실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의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른 자율조정안을 결의하고 투자자에 대한 자율 배상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이날까지 H지수 ELS 자율 배상을 결정한 은행은 하나·우리·NH농협·SC제일·씨티은행을 포함해 모두 7개로 늘었다.
KB국민은행은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해소 및 신뢰 회복을 위해 만기 손실이 확정 또는 현재 손실 구간에 진입한 투자자를 대상으로 신속히 보호조치를 실행할 계획이다.
자율조정협의회는 금융업 및 투자상품 관련 법령과 소비자보호 분야에 풍부한 학식과 경험을 갖춘 외부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외부 위원들은 투자자별 판매 과정상의 사실 관계와 개별 요소를 면밀히 파악해 배상금액 산정을 지원할 예정이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고객의 평생금융파트너로서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실천해 나가겠다"며 "손실이 확정된 사례부터 순차적으로 신속한 배상 절차를 이행하고 투자자 보호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신한은행도 이날 이사회를 개최해 금융감독원의 홍콩 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관련 분쟁조정기준안을 수용하고 투자자들에 대한 자율배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신한은행은 금감원 기준안에 따라 기본 배상비율을 정하고 사실관계 확인을 거쳐 투자자 별 고려 요소를 반영해 최종 배상비율을 산출할 예정이다.
특히 소비자보호그룹 내에 금융상품지식, 소비자보호 정책 및 법령 등 관련 경험이 풍부한 외부 전문가들이 포함된 자율조정협의회를 설치해 공정하고 합리적인 기준과 절차에 따라 배상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계획이다.
신한은행은 이달부터 고객과 접촉해 배상 내용, 절차 등의 안내를 시작하고 배상비율 협의가 완료된 고객부터 배상금을 지급할 예정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고객 가치와 신뢰 회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해 신속한 배상 의지를 표명하는 차원에서 분쟁조정기준안에 따라 자율적 배상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며 “손실 고객에 대한 배상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검사 지적 사항에 대해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해 기업시민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날 오후 NH농협은행은 임시 이사회를 열어 금융감독원의 홍콩 H지수 ELS 분쟁조정 기준안을 토대로 손실고객에 대한 자율조정 추진을 결의했다.
농협은행은 외부 전문가를 포함한 자율조정협의회를 구성하고, 금감원의 분쟁조정 가이드라인을 준용한 세부 조정방안을 수립하는 등 손실고객을 대상으로 조정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겠다고 발표했다.
농협은행의 H지수 ELS 판매 잔액은 작년 말 기준 2조600억원 수준이다. 이 중 1조8000억원가량이 연내 만기가 도래한다.
SC제일은행도 이날 오후 개최한 임시이사회에서 손실 고객에 대한 자율배상안 승인 건을 의결하고 관련 위원회를 구성, 고객배상 절차에 착수하기로 했다.
손실이 확정된 2021년 1∼7월 판매분(2024년 1∼7월 만기 도래분)을 중심으로 손실·배상 규모를 따질 경우, 7개 은행의 배상 규모는 최소 약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은 지난달 11일 H지수 ELS의 대규모 손실 발생에 따른 분쟁조정기준안을 제시했다.
조정안에 따르면 ELS 판매사가 부담해야 하는 최대 배상 비율이 100%에 이를 수도 있지만 대다수 투자자는 20∼60%를 적용받을 전망이다. 금감원은 이를 바탕으로 판매사별 자율배상을 하도록 촉구했다.
금감원 검사국은 홍콩 ELS 판매 은행들에게 검사의견서를 발송할 예정이다.
검사의견서를 받은 은행은 내부 검토를 거쳐 소명 의견서를 제출하며 이를 근거로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를 거쳐 최종 제재를 확정한다.
금감원은 이달중 제재를 확정하고 이르면 내달부터 제도개선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출처 : 이슈앤비즈(http://www.issuenbiz.com)
'이슈앤비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엔솔, 美애리조나 공장 착공...2026년 원통형 46시리즈 선점 (1) | 2024.04.04 |
---|---|
하나은행,도전과 혁신의 ‘뉴 하나 딜링룸 2.0 시대’ 본격 개막...24시간 트레이딩에 최적화된 환경 구축 (0) | 2024.04.04 |
KB국민은행, ‘세계 자폐인의 날’ 맞아 한국자폐인사랑협회에 기부금 1억원 전달 (0) | 2024.04.03 |
우리은행, 서울주택도시공사와 손잡고 "청년주택 공급 확대" (1) | 2024.04.03 |
대만 규모 7.4 강진 사상자 100명 넘어...TSMC 반도체 공급차질 우려 (2)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