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앤비즈

"정보 유출 막아라"...외교부·국방부·산업자원부에 이어 환경부·보건복지부·경찰청도 '딥시크' 접속 차단

issuenbiz 2025. 2. 6. 13:54
국방부, '딥시크' 관련 "장병 스마트폰 보안 대책도 강구"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화면/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

 

 

 

"정보 유출을 막아라"

​외교부·국방부· 산업통상자원부· 여성가족부뿐만 아니라 환경부·경찰청도 중국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 접속을 제한하는등 정부 부처에서 접속을 제한하는등 비상이 걸렸다.

​딥시크는 최근 추론 모델인 R1 등을 기반으로 한 딥시크 AI어시스턴트 앱을 내놨고 이 앱은 국내에서도 주간 사용자가 120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환경부는 6일 오전 9시부터 인터넷에 연결된 PC에서 딥시크를 접속할 수 없도록 차단했다. 오픈AI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 접속은 막지 않았다.

​경찰청도 업무용 PC에서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 '딥시크' 사이트 접근을 차단했다.

​경찰청은 이날 "딥시크 사용시 개인정보 유출 등 보안 우려가 있어 오전 7시부터 보안상 안전성 확인 시까지 딥시크 접근을 차단했다"고 공지했다.

​아울러 "비공개 행정정보 입력 유의 등 '생성형 AI 사용시 주의사항'을 준수하도록 긴급하게 경찰관서에 전파했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정보 유출 등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된다는 이유로 전날부터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고 통일부도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사이트 접근을 차단한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취재진과 만난 자리에서 "생성형 AI에 대해 금일 접속 차단 등 후속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고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한편 국방부는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에 대해 업무용 PC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장병들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관련 보안대책도 강구 중이라고 밝혔다.

​전하규 대변인은 이날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생성형 AI와 관련해 최근 기술적 또는 보안상 우려가 있는 것을 알고 있다"며 "보안상 문제가 있는 사이트 또는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필요한 후속 대책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이슈앤비즈(http://www.issue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