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2024년 글로벌 이슈 및 대응계획' 조사
'미중갈등' 현수준 지속 58%...완화전망 18%그쳐
신규 거래처·대체 수출입처 발굴 등 대응책 제시

국내 기업들은 올해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글로벌 이슈로 '글로벌 공급망 문제 심화'를 꼽았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지난해 12월 4∼18일 122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고 8일 발표한 '2024년 글로벌 이슈 및 대응계획'에 따르면 올해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글로벌 이슈로 '글로벌 공급망 문제 심화'라는 응답이 23.0%로 가장 많았다.
이어 '미국 고금리 기조 장기화'(18.0%), '전쟁 장기화 및 지정학적 갈등 확산'(17.2%), '미중 갈등과 탈중국 필요성 증대'(14.8%), '보호무역주의 강화'(8.2%) 등의 순이었다.
'2024년 우리 경제에 영향을 미칠 글로벌 이슈'/자료=한경협
미중 갈등과 관련해서는 절반이 넘는 58.2%가 현 수준의 갈등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고 갈등이 심화할 것이라는 응답도 23.8%에 달했다. 완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18%에 불과했다.
아울러 기업들은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올해에도 지속될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었으며, 완화되더라도 소폭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현상 유지'(43.4%) 응답이 가장 많았고, '소폭 인하할 것'(38.5%)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 '신규 거래처 발굴을 통한 공급망을 다변화'(45.9%)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주요 자원개발 투자 확대'(23%), '자체 핵심기술력 및 인력 확보'(20.5%) 순이었다.
기업들은 전쟁과 지정학적 갈등 확산에 대한 대응책으로 '대체 수출입처 물색'(63.9%)을 가장 많이 꼽았고, 글로벌 경제 수요 침체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는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변화'(50%)를 고려하고 있었다.
국내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기업 규제 완화'(31.1%), '법인세 감세 등 세제 지원'(28.7%), '통상영역 확대를 통한 해외 신수요 창출'(18%) 등을 꼽았다.
김봉만 한경협 국제본부장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 고금리, 미중 갈등 등 대외 리스크 요인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기업들은 신규 거래처 발굴 및 대체 수출입처 물색 등으로 대응할 계획"이라며 "정부도 기업의 해외시장 신수요 창출을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이슈앤비즈(http://www.issuenbiz.com)
'이슈앤비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신용카드 키워드 ‘VALUE’..."가성비와 가치소비" (0) | 2024.01.08 |
---|---|
[CES 2024]LG전자, ‘고객의 미래를 재정의하다’ 메시지 담은 광고로 관람객 맞이 (0) | 2024.01.08 |
삼성화재, 손보업계 온라인 관심도 톱...현대해상·KB손해보험順 (0) | 2024.01.08 |
공정위 '담보대출 담합' 4대 은행에 수천억대 과징금·고발 착수 (0) | 2024.01.08 |
LG 클로이(CLOi), 베트남·태국 등 동남아시아 골프장 누빈다...‘로봇으로 스코어 확인하고, 음식 배송까지’ (0) | 2024.01.05 |